April 26, 2015





 



 





 



 







이 노래는 Internet Explorer Google Chrome에서 잘 들립니다.

그러나 FireFox에서는 들리지 않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

이 노래는
실제로 19세기 미국으로 이주(移住)해야만 했던 많은 

스웨덴 이민자들의 슬픈 역사를 노래합니다.

손을 잡아주실 주님이여 거기 계셔주시라는

절한 노래입니다.





You have banished me
From the land where I was born
Here upon a foreign shore, forsaken,
I have followed You and done Thy will
Should I kneel to you?
When I rise You strike me down
Once again a little one you've taken
Everywhere I turn it's darker still

 What is it, Lord, that you want
And that I am not seeing?
What, in my innocent prayers,
Am I failing to say?

 Never before have I questioned
The truth of your being
Never once have I dared
Never until today

 All of a tremble I stand
On the edge of confusion
Who is to save me
If into the darkness I fall?

 Now that I need more than ever
My God to be near me
Do you hear when I call?
Are you there, after all?

 You have to be there, you have to
My life I have placed in thy keep
And without you I am drifting
On a dark and rising sea

 You have to be there, you have to
Without you I drown in the deep
Too far, too far from land
The waters drag me down
I reach for your hand

 Who, when I die, will throw open
His arms to receive me?
Who will believe me and take me
Into his embrace?

 When I have gone to my rest
Will you watch me and wake me?
When my time comes at last
Will you grant me your grace?

 I am so small in this earth
I am nothing without you
Daring to doubt you at all
Turns a knife in my heart

 Little by little I'm losing my way
In the shadows
I am losing my hold
And the world falls apart

 You have to be there, you have to
My life I have placed in thy keep
And without you I am drifting
On a dark and rising sea

 You have to be there, you have to
Without you I drown in the deep
Too far, too far from land
The waters drag me down
I reach for your hand

 And without you I am drifting
On a vast and rising sea
You have to be there, you have to
Without you I drown in the deep
Too far, too far from land
The waters drag me down
I reach for your hand






 

Helen Sjoholm(헬렌 쇼홈) (1970. 7. 10-  ) 스웨덴 가수

 

스웨덴 작가인 빌헬름 모버그 4부작 소설 중의 하나인 <이민자들, The Emigrants>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뮤지컬 <크리스티나>는 세계적 팝 그룹 아바(ABBA)의 멤버였던 베니 앤더슨(Benny Andersson)과 비욘 울베이어스(Bjorn Ulvaeus)가 뮤지컬 작사, 작곡자로서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준 기념비적 작품이다.

 

실제로 19세기 미국으로 이주(移住)해야만 했던 많은 스웨덴 이민자들의 슬픈 역사를 재현했다는 점에서 스웨덴 국민들에겐 더욱 의미 깊은 작품이기도 하다. 

 





 

1850년대 스웨덴을 배경으로 시작하는 이 뮤지컬 작품은, 한 마을의 농부인 칼 오스카와 그의 아내 크리스티나가 기근으로 인해 삶이 궁핍해 지면서 기회의 땅이자 미지의 땅인 미국으로 이주를 결심하고, 생경한 미국 미네소타에 정착하면서 겪는 역경과 고난의 삶을 잔잔하고도 애절하게 그린 뮤지컬이다.

 

특히 다른 뮤지컬 작품들과는 다르게 뮤지컬 <크리스티나>에는 서정성과 서사성이 진하게 묻어있다. 이러한 서정성과 서사성의 느낌을 전달하는 가장 큰 도구로 베니 앤더슨의 음악들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는데, 1, 2막에 걸쳐 사용된 하나 하나의 곡들이 모두 쉽게 지나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우면서도 스칸디나비아 전통의 느낌을 충분히 담고 있어 작품에 깊이를 더한다.

이러한 작품의 명성 때문에 아직 웨스트엔드나 브로드웨이에 정식 공연을 선보인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그 동안 뮤지컬 팬들 사이에서는 꾸준한 관심을 받아왔다.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동영상으로 감사하실 분들은 아래 유튜브를 열어보세요.....

 

 

 







 

 


 
 



 




 




 
 
 

 
 

 








 

영국 시인 로버트 브라우닝의 아내는 처녀 적부터 병을 앓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15년을 수발해준 남편 품에 안겨 행복하게 숨을 거두었습니다. 

브라우닝이 아내에게 바친 201행 장시(長詩)가 'One word more(한마디만 더)'라는 시입니다.

 

그 시 가운데 두 번 나오는 'Once, and only once, and for one only

(한 번, 단 한 번 그리고 단 한 사람을 위해)'라는 대목은...

읽는 사람의 가슴을 강타합니다. 

 

오늘은 그 긴 장시를 아래 소개하면서 그 한 대목을 따로 떼어서 먼저 소개합니다.... (언)  

 




 



한 사람이 보입니다
아픔도 보입니다
슬픔도 보입니다
애써 참으려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럴수록 더 잘 보입니다


보듬어주고 싶네요
안아주고 싶네요
그 아픔 슬픔 조금이나마 들어주고 싶네요


아프지 않았으면 하네요
힘들지 않았으면 하네요
애써 참으려 숨기려고도 하지 않을 수 있는
그런 햇살 같은 사람이 되어 주고 싶네요


조금이나마 아프지도 힘들지도 않게
앙상한 가지처럼 떨어져 말라버린 낙엽처럼
그렇게 허한 마음만 남기 전에

한 번, 오직 한번,

그리고 오직 한 사람에 대해서.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아래 원문 시를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There they are, my fifty men and women 

Naming me the fifty poems finished! 

Take them, Love, the book and me together; 

Where the heart lies, let the brain lie also. 


 

II 


 

Rafael made a century of sonnets, 

Made and wrote them in a certain volume 

Dinted with the silver-pointed pencil 

Else he only used to draw Madonnas; 

These, the world might view--but one, the volume. 

Who that one, you ask? Your heart instructs you. 

Did she live and love it all her lifetime? 

Did she drop, his lady of the sonnets, 

Die, and let it drop beside her pillow 

Where it lay in place of Rafael's glory, 

Rafael's cheek so duteous and so loving-- 

Cheek, the world was wont to hail a painter's, 

Rafael's cheek, her love had turned a poet's? 


 

III 


 

You and I would rather read that volume 

(Taken to his beating bosom by it), 

Lean and list the bosom-beats of Rafael, 

Would we not? than wonder at Madonnas-- 

Her, San Sisto names, and Her, Foligno, 

Her, that visits Florence in a vision, 

Her, that's left with lilies in the Louvre-- 

Seen by us and all the world in circle. 



 

IV 


 

You and I will never read that volume. 

Guido Reni, like his own eye's apple, 

Guarded long the treasure-book and loved it. 

Guido Reni dying, all Bologna 

Cried, and the world cried too, 'Ours, the treasure!' 

Suddenly, as rare things will, it vanished. 



 


 

Dante once prepared to paint an angel: 

Whom to please? You whisper 'Beatrice.' 

While he mused and traced it and retraced it 

(Peradventure with a pen corroded 

Still by drops of that hot ink he dipped for, 

When, his left-hand i' the hair o' the wicked, 

Back he held the brow and pricked its stigma, 

Bit into the live man's flesh for parchment, 

Loosed him, laughed to see the writing rankle, 

Let the wretch go festering through Florence)-- 

Dante, who loved well because he hated, 

Hated wickedness that hinders loving, 

Dante, standing, studying his angel,-- 

In there broke the folk of his Inferno. 

Says he--'Certain people of importance' 

(Such he gave his daily dreadful line to) 

'Entered and would seize, forsooth, the poet.' 

Says the poet--'Then I stopped my painting.' 



 

VI 


 

You and I would rather see that angel, 

Painted by the tenderness of Dante, 

Would we not?--than read a fresh Inferno. 


 

 

VII 


 

You and I will never see that picture. 

While he mused on love and Beatrice, 

While he softened o'er his outlined angel, 

In they broke, those 'people of importance': 

We and Bice bear the loss forever. 


 

 

VIII 


 

What of Rafael's sonnets, Dante's picture? 

This: no artist lives and loves, that longs not 

Once, and only once, and for one only, 

(Ah, the prize!) to find his love a language 

Fit and fair and simple and sufficient-- 

Using nature that's an art to others, 

Not, this one time, art that's turned his nature. 

Ay, of all the artists living, loving, 

None but would forego his proper dowry,-- 

Does he paint? he fain would write a poem, 

Does he write? he fain would paint a picture,-- 

Put to proof art alien to the artist's, 

Once, and only once, and for one only, 

So to be the man and leave the artist, 

Gain the man's joy, miss the artist's sorrow. 


 

 

IX 


 

Wherefore? Heaven's gift takes earth's abatement! 

He who smites the rock and spreads the water, 

Bidding drink and live a crowd beneath him, 

Even he, the minute makes immortal, 

Proves, perchance, but mortal in the minute, 

Desecrates, belike, the deed in doing. 

While he smites, how can he but remember, 

So he smote before, in such a peril, 

When they stood and mocked--'Shall smiting help us?' 

When they drank and sneered--'A stroke is easy!' 

When they wiped their mouths and went their journey, 

Throwing him for thanks--'But drought was pleasant.' 

Thus old memories mar the actual triumph; 

Thus the doing savors of disrelish; 

Thus achievement lacks a gracious somewhat; 

O'er-importuned brows becloud the mandate, 

Carelessness or consciousness--the gesture. 

For he bears an ancient wrong about him, 

Sees and knows again those phalanxed faces, 

Hears, yet one time more, the 'customed prelude-- 

'How shouldst thou, of all men, smite, and save us?' 

Guesses what is like to prove the sequel-- 

'Egypt's flesh-pots --nay, the drought was better.' 


 

 


 

Oh, the crowd must have emphatic warrant! 

Theirs, the Sinai-forhead's cloven brilliance, 

Right-arm's rod-sweep, tongue's imperial fiat. 

Never dares the man put off the prophet. 


 

 

XI 


 

Did he love one face from out the thousands, 

(Were she Jethro's daughter, white and wifely, 

Were she but the AEthiopian bondslave), 

He would envy yon dumb, patient camel, 

Keeping a reserve of scanty water 

Meant to save his own life in the desert; 

Ready in the desert to deliver 

(Kneeling down to let his breast be opened) 

Hoard and life together for his mistress. 


 

 

XII 


 

I shall never, in the years remaining, 

Paint you pictures, no, nor carve you statues. 

Make you music that should all-express me; 

So it seems; I stand on my attainment. 

This of verse alone, one life allows me; 

Verse and nothing else have I to give you; 

Other heights in other lives, God willing; 

All the gifts from all the heights, your own, Love. 


 

 

XIII 


 

Yet a semblance of resource avails us-- 

Shade so finely touched, love's sense must seize it. 

Take these lines, look lovingly and nearly, 

Lines I write the first time and the last time. 

He who works in fresco steals a hair-brush, 

Curbs the liberal hand, subservient proudly, 

Cramps his spirit, crowds its all in little, 

Makes a strange art of an art familiar, 

Fills his lady's missal-marge with flowerets, 

He who blows through bronze may breathe through silver, 

Fitly serenade a slumbrous princess. 

He who writes, may write for once as I do. 


 

 

XIV 


 

Love, you saw me gather men and women, 

Live or dead or fashioned by my fancy, 

Enter each and all, and use their service, 

Speak from every mouth,--the speech, a poem. 

Hardly shall I tell my joys and sorrows, 

Hopes and fears, belief and disbelieving: 

I am mine and yours--the rest be all men's, 

Karshish, Cleon, Norbert, and the fifty. 

Let me speak this once in my true person, 

Not as Lippo, Roland, or Andrea, 

Though the fruit of speech be just this sentence: 

Pray you, look on these my men and women, 

Take and keep my fifty poems finished; 

Where my heart lies, let my brain lie also! 

Poor the speech; be how I speak, for all things. 


 

 

XV 


 

Not but that you know me! Lo, the moon's self! 

Here in London, yonder late in Florence, 

Still we find her face, the thrice-transfigured. 

Curving on a sky imbrued with color, 

Drifted over Fiesole by twilight, 

Came she, our new crescent of a hair's-breadth. 

Full she flared it, lamping Samminiato, 

Rounder 'twixt the cypresses and rounder, 

Perfect till the nightingales applauded. 

Now, a piece of her old self, impoverished, 

Hard to greet, she traverses the house-roofs, 

Hurries with unhandsome thrift of silver, 

Goes dispiritedly, glad to finish. 


 

 

XVI 


 

What, there's nothing in the moon noteworthy? 

Nay: for if that moon could love a mortal, 

Use, to charm him (so to fit a fancy), 

All her magic ('tis the old sweet mythos), 

She would turn a new side to her mortal, 

Side unseen of herdsman, huntsman, steersman,-- 

Blank to Zoroaster on his terrace, 

Blind to Galileo on his turret. 

Dumb to Homer, dumb to Keats --him, even! 

Think, the wonder of the moonstruck mortal-- 

When she turns round, comes again in heaven, 

Opens out anew for worse or better! 

Proves she like some portent of an iceberg 

Swimming full upon the ship it founders, 

Hungry with huge teeth of splintered crystals? 

Proves she as the paved work of a sapphire, 

Seen by Moses when he climbed the mountain? 

Moses, Aaron, Nadab, and Abihu 

Climbed and saw the very God, the Highest, 

Stand upon the paved work of a sapphire. 

Like the bodied heaven in his clearness 

Shone the stone, the sapphire of that paved work, 

When they ate and drank and saw God also! 


 

 

XVII 


 

What were seen? None knows, none ever will know. 

Only this is sure--the sight were other, 

Not the moon's same side, born late in Florence, 

Dying now impoverished here in London. 

God be thanked, the meanest of his creatures 

Boasts two soul-sides, one to face the world with, 

One to show a woman when he loves her. 


 

 

XVIII 


 

This I say of me, but think of you, Love! 

This to you--yourself my moon of poets! 

Ah, but that's the world's side, there's the wonder, 

Thus they see you, praise you, think they know you! 

There, in turn I stand with them and praise you-- 

Out of my own self, I dare to phrase it. 

But the best is when I glide from out them, 

Cross a step or two of dubious twilight, 

Come out on the other side, the novel 

Silent silver lights and darks undreamed of, 

Where I hush and bless myself with silence. 


 

 

XIX 


 

Oh, their Rafael of the dear Madonnas, 

Oh, their Dante of the dread Inferno, 

Wrote one song--and in my brain I sing it, 

Drew one angel--borne, see, on my bosom! 



 



 

 



 


 

 









 









 












 


 

4월은 3.1운동 민족대표 34인 중 유일한 외국인 스코필드 박사가 세상을 뜬지 45주년(1970년 4월12일)  되는 달이다.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모신 212분 가운데 외국인이 딱 한 사람 있다. 3·1운동 민족 대표 33인에 더해 '서른네 번째' 독립운동가라고 부르는 캐나다 출신 선교사이자 의사 스코필드 박사다.

구한말 이후 150여 선교사가 조선에 왔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독립운동에까지 뛰어든 이는 드물다.

오늘까지 전해오는 탑골공원의 분노한 태극기 물결 사진들은 대부분 스코필드가 찍었다.







 

그는 3·1운동 보름 뒤 경기도 화성 제암리에서 일제의 끔찍한 만행이 있었다는 얘기를 듣고 달려갔다.

소아마비를 앓아 한쪽 다리와 팔이 불편한 몸으로 자전거를 몰았다. 일제 경찰은 3·1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열다섯 살 넘은 남자들을 교회 안에 밀어 넣고 창문으로 총질해 스물세 명을 학살했다. 그러곤 교회에 불을 질렀다.

스코필드는 생생한 현장 사진을 찍고 '제암리 학살 보고서'를 만들어 일제 만행을 세계에 고발했다. 서대문형무소에 갇힌 유관순과 동료를 면회해 고문과 학대의 실상을 바깥에 알린 것도 그였다.

 





 

1920년 일제가 강제 추방했던 스코필드는 1958년 한국에 다시 와 서울대 수의대 교수가 됐다.

"약자에겐 비둘기 같은 자애로움으로, 강자에겐 호랑이 같은 엄격함으로." 그가 늘 하던 말대로 신생 대한민국의 장래를 위해 불의와 사회 부조리에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그가 1960년대 남긴 어록 중에는 이런 것도 있다. "한국은 약소국인데 그나마 국토가 분단돼 있소. 이 가장 큰 분열 속에 다시 수백 가지 작은 분열이 우글거린단 말이오." 사람들은 그를 '호랑이 스코필드 박사'라고 불렀다.

 

스코필드는 어린 중·고등학생들에게 영어성경을 가르치면서 존칭을 생략한 적이 없었다. 늘 유머와 자상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누군가 지각을 하고 변명할라치면 "핑계를 대지 마시오"라며 우리말로 따끔하게 가르쳤다.

그는 월급을 쪼갠 장학금으로 젊은 인재들을 숱하게 길러냈다. 1970년 세상을 뜨며 많지 않은 재산을 서울 보육원 두 곳과 YMCA에 헌납하고 빈 몸으로 돌아갔다.

 

그는 말년에 건강이 나빠지면서 스코필드는 누군가 "호랑이 할아버지!" 부르면 "이젠 호랑이가 아녜요. 고양이밖에 못 돼요" 하며 웃겼다고 한다. 그가 낯선 땅에 와 나눈 사랑, 한결같이 가르친 정의와 성실은 우리가 배우고 이어가야 할 소중한 가치들이다.

 

 







 

 


 



 










 







 




 

 



 


 



 


 


 




 

 



 

 

주일예배나 혹은 공적인 예배시간에 <회중기도> 혹은 <대표기도>를 드리는 순서가 있습니다.
 

기도 인도자가 단 위에 올라가서 <기도하겠습니다>라는 말로 모두의 눈을 감게 하고 고개를 숙이게 합니다. 그리고 성경구절을 읽거나 외워가면서 거기에 기도자가 해석을 덧붙여 설교(?) 겸 기도를 전개하는 모습을 쉽게 발견하게 됩니다.

< 이 말씀은 이런 뜻인 줄 믿습니다.>
< 이 말씀은 이럴 때 우리에게 필요한 말씀인 줄 압니다.>
< 성경의 누구누구는 이 말씀을 가지고 이렇게 살았습니다.>
< 하나님은 이 말씀을 ...... 뜻으로 우리에게 말씀하신 줄 믿습니다.> 등등의 표현을 사용해 가면서 자신의 이해를 합리화하여 하나님의 동의를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때는 도저히 따를 수 없는 자신의 해석을 기도라는 행위로 정당화시키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성경의 해석은 문자만을 보고 해석한 것이 전부가 될 수 없습니다. 그 뒤에 숨은 배경과 원어의 뜻을 먼저 알아 보지 않고서 확실한 해석을 내리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과연 이러한 기도의 내용이 합당한 것일까요?

 

그 대답을 교리신학이나 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찾기 이전에 우리에게 주신 유일한 기도의 모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주님이 우리에게 가르쳐주신 기도입니다.
이 기도 가운데는 인간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 것이나 구약의 말씀을 인용하는 부분이 없습니다.

 

그리고 기독교 예배 역사에 나타난 기도문들을 검토해 봐도 오늘과 같이 성경을 읽고 해석하면서 자기 이해를 앞세우고 진행하는 기도는 전혀 없습니다.

 

교회에 나타난 모든 기도는 하나님을 향한 경외와 찬양의 문장으로 가득합니다. 그리고 감사의 내용이 담긴 사연들로 채워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하나님과 이웃 앞에 부끄러운 허물과 죄의 용서를 구하는 참회의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남은 시간만이라도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의 주역이 되기를 간구하는 것이 기도의 전부입니다.

 

결코 기도를 통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뜻을 회중들에게 들려 주려는 내용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진정 죄인 된 인간으로서 하나님의 존전(尊前)에 겸손히 엎드려 <불쌍히 여겨 달라>는 소박한 호소가 기도의 정신입니다.

 

기도는 회중을 대표하여 하나님께 하는 것 입니다. 기도는 순수해야 합니다. 결코 성경을 읽고 그 말씀을 풀어주는 행위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거기에 더하여 자신이 회중 앞에 서있는 기회이기에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기도를 통하여 회중에게 알려주려는 의도는 진정한 기도행위가 될 수 없습니다. 기도의 대상은 인간이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이 기도의 대상이 되셔서 죄인 된 인간들의 기도를 들으십니다. 그러기에 하나님이 원하시고 기뻐하시는 내용의 기도가 되어야 합니다.

 

기도는 기독교의 심장이고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을 하는 최선의 길 입니다. 기도는 생명을 이어주는 숨결입니다. 그 숨결이 순수해야 하나님께 상달될 수 있습니다. 맑고 순수한 기도는 하나님의 존전(尊前)에 들어가는 통로이며 죄악의 문을 닫는 빗장입니다.

 

우리는 성령님께서 도우시는 가운데 바른 기도를 드려야 할 것입니다.(장재언)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위치한 국수교회(김일현 목사)는 공연하는 교회로 유명하다. 매년 20~30회씩 예술 공연을 연다. 피아노 독주회부터 오케스트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연이 열린다. 예배당도 공연에 적합한 콘서트홀 구조를 갖췄다. 시골 교회가 문화 사역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수교회는 문화를 매개로 지역 주민들과 소통한다. 시골은 도시에 비해 문화 공연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다. 교인들은 문화가 먹고 사는 일을 당장 해결해 주지는 못하지만,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교회 가면 대학 간다

 

김일현 목사는 1988년 국수교회에 부임했다. 지역 주민 대부분은 노인이었고, 청년이나 학생들은 거의 없었다. 그러다 보니 어른들은 자녀 교육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 김 목사는 아이들이 아무런 꿈도 없이 커 가는 모습에 마음이 쓰였다. 아이들을 위해 교회가 나서야겠다고 생각했다.

 

1989년부터 교회 공부방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교회 공부방 개념이 없었다. 교인들이 열심히 도와줬고, 아이들도 공부에 열심을 내기 시작했다. 공부방을 만든 이듬해에 1명이 대학에 진학하더니 2년째에는 4명, 3년째 되던 해에는 10명이 대학에 갔다. 자연스럽게 교회에 가면 대학에 간다는 공식이 생겼다.

 

공부방은 교회와 지역사회에 새로운 동력이 됐다. 노력했던 것보다 더 좋은 효과가 나타나니 교인들은 자부심을 느꼈고,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던 외부인들도 교회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대학생이 없던 마을에 대학생이 생기기 시작했고, 교회가 대학교 보내 주는 곳으로 소문이 났다. 물론 공부방은 지역 학생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다.

 

소문은 양평군까지 퍼졌다. 양평군청에서 매년 예산을 지원받게 됐고, 받은 예산으로 원어민 강사를 초빙해 영어 교실을 운영하는 등 외연을 넓혔다. 시간이 흘러 교회 공부방 출신 학생들이 미국 대학 교수가 되기도 했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방학 때면 고향에 내려와 고향 후배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경기도 시범 공부방으로 선정됐다.

 

현재는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생활 영어 강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 교육과 특기 교육으로 방향을 틀었다. 예전과 같이 체계적인 공부방은 운영하지 않는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저녁 늦게까지 잡아 놓는 등 요즘에는 오히려 교육이 과열됐다는 판단에서다.

 

국수교회는 주중에 교회 공부방을 운영한다.  첼로 소리를 따라가 보니 초등학교 1~2학년쯤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선생님과 마주 앉아 레슨을 받고 있었다. 중학교 학생들도 학교 수업을 끝내고 삼삼오오 교회를 찾았다.
 




 

 

 

 

국수교회는 주중에 교회 공부방을 운영한다. 예전과 같이 체계적인 공부방은 운영하지 않는다. 그 대신, 악기 레슨이나 생활 영어 강좌 등을 한다. 수업은 교회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시큰둥하던 주민들, 이제는 악기 하나씩…1년이면 페스티벌만 3번

 

국수교회가 가장 중점을 두는 사역은 문화 사역이다. 문화 사역은 우연한 계기로 시작했다. 김 목사의 아내가 3개월 동안 서울을 오가며 플루트를 배우고 있을 때였다. 아내가 교회에서 연습하고 있을 때면 동네 주부들이 턱을 괴고 그 모습을 지켜봤다.

 

김 목사는 이들에게도 문화적 욕구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3개월밖에 배우지 않은 김 목사의 아내였지만, 그렇게 플루트 선생이 되어 동네 주민들을 지도했다. 그 모임은 3개월 만에 앙상블이 됐고, 지역 교회를 순회하며 특송을 했다. 몇 개월 뒤에는 면 행사나 군 행사에도 참여하게 됐다.

 

김일현 목사는 199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문화 사역을 시작했다. 대학에서 성악을 한 그는 자신의 전공을 살려 지역 주민과 교인들을 대상으로 악기 교실을 열었다. 플루트, 바이올린 등 악기 5대를 200만 원에 구입했다. 사역 초창기에는 먹고살기도 힘든데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소리도 들었다. 하지만 시큰둥하던 주민들의 반응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주민들이 하나둘 악기 교실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악기 교실은 조그만 오케스트라로 발전했다. 오케스트라는 예배당에서 음악회를 열었고, 지역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공연을 관람하기 시작했다. 그런 활동을 20년 넘게 지속했고, 현재는 양평군 오케스트라의 모태가 됐다. 1년이면 일주일 동안 지속하는 페스티벌을 3개 정도 연다. 페스티벌에는 몇 천 명씩 관람객들이 몰려든다. 페스티벌 외에도 수시로 각종 콘서트를 예배당에서 개최한다.


 


 

 

 

 

김일현 목사는 스스로 농촌 목회에 실패했다고 말했다. 28년간 농촌 목회를 했지만, 주민들의 삶에 녹아들지 못했다고 했다. 함께 농사도 짓고 일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런 일은 아직도 익숙지 않다고 했다. 대신에 교육 사역과 문화 사역을 통해 농촌 사회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채우기 위해 노력한다고 했다.


 

 

김 목사는 "문화는 누구나 누릴 권리인데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밭에 나가 일하고, 자기 돈 내고 극장 한번 가 본 적 없는 주민들을 보면서 교회가 문화 향유의 통로로 쓰임 받는 것도 하나님이 원하시는 일이라고 확신했다"고 말했다.

 

국수교회는 어느덧 양평군의 명소가 됐다. 색소폰 연주자 심상종, 프랑스의 천재 피아니스트 파스칼 갈레, 모스크바국립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음악인들과 공연단이 국수교회에서 공연을 가졌다. 기자가 방문한 날에도 4월 24일에 연주회가 예정된 오르가니스트 오세은 씨가 연습 중이었다. 음악에 문외한인 기자가 듣기에도 예배당을 가득 채우는 오르간 선율은 인상적이었다. 시골의 작은 교회가 문화의 메카로 자리 잡은 것이다.

 

2005년 신축한 예배당도 한 몫 했다. 국수교회 예배당은 전통적인 예배당과는 확연히 다르다. 100평 규모의 원형 예배당은 음향 중시해 설계했다. 벽돌 하나하나의 위치와 흡음재까지 세심하게 신경을 썼다. 예배당 중앙에서 소리를 내면 마이크를 대고 말하듯 공명이 있고, 천장에는 웬만한 공연장에 버금가는 조명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국수교회 예배당은 음악 공연에 적합하게 설계됐다. 원형 콘서트홀 구조다. 연주자와 관객이 구분되지 않고, 한데 어울릴 수 있도록 유도했다.



 

 

 

국수교회가 기독교 음악만 고집하는 건 아니다.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올린다. 색소폰 연주자 심상종, 프랑스의 천재 파이니스트 파스칼 갈레, 모스크바국립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 음악인들과 공연단이 국수교회에서 공연을 했다.


 

교회가 해야 할 일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일

 

 

국수교회가 교육이나 문화 사역에만 집중하는 건 아니다. 교회 안에는 문화사업단, 사회봉사단, 선교단 세 개 부서가 있다.

선교단은 말 그대로 선교를 위한 부서다. 국수교회는 필리핀에 선교 센터를 세워 운영하고 있다. 교회에 시무하던 부목사를 필리핀 선교 센터로 파송했다. 현재는 사역 범위를 넓혀 현지 학생 교육을 위한 학교를 건립했다. 선교부원들이 필리핀 선교 센터의 운영과 후원을 담당한다.

 

사회봉사단은 전철역 및 거리 청소, 학교 급식 지원, 빨래방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지역 사회를 위한 사역을 꾸준히 해 온 탓인지, 최근에는 양평구청으로부터 노인 일자리 사업을 위탁받았다. 140명의 지역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뜨개질 모임을 만들어 달라는 주민들의 요청도 들어왔다. 교회에서 운영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에게 열려 있다.

 

 

 

 

국수교회는 빨래방을 운영한다. 아침마다 독거노인, 몸이 불편해 살림할 수 없는 가정, 소년·소녀 가장이 있는 집 들의 빨래를 수거해 세탁을 한 후 저녁에 돌려준다.



 

예배는 일주일에 한 번만…"사역을 전도 위한 미끼로 사용해선 안 돼"

 

국수교회는 지역사회를 위한 사역을 늘리기 위해 교회 행사는 최소화했다. 예배도 일요일 공동 예배 한 번뿐이다. 김 목사는 예배로 끝나는 신앙생활은 의미가 없다고 했다. 일정 기간 이상 교회에 다닌 사람들은 목회자와 함께 사회를 섬겨야 하고, 교회 밖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처음 교회에서 음악회를 열 때는 외부인들이 눈치 보면서 잘 안 들어왔어요. 그들이 공연을 보러 오면 우리는 대접하는 데만 신경을 썼습니다. 오히려 그쪽에서 먼저 물었어요. 왜 우리 보고 예수 믿으라는 소리 안 하느냐고 말이죠. 내가 반문했어요. '예수 믿으라고 하면 믿겠느냐?' 그랬더니 그건 아니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얘기한다고 믿지도 않을 걸 왜 입 아프게 얘기하겠느냐. 그 소리 하는 거 보니까 믿을 날이 머지않은 것 같다'고 농담하고 넘어갔어요.

 

일부 교회는 전도를 위해 문화 교실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세상 사람들도 교회가 그 속에 전도라는 낚싯바늘을 숨겨 놓고 있다는 걸 다 알아요. 그렇게 얄팍하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말없이 섬기다 보면, 어느 순간에 그들이 마음을 열고 예수를 영접한다고 생각해요. 영혼 구원 문제는 하나님과 그들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누가 강요한다고 되는 건 아니죠. 단지 우리는 섬김을 통해 접촉점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 목사는 국수교회가 하나의 사례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골의 작은 교회도 얼마든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교회 하나 잘되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방방곡곡에서 이런 사역이 일어났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전국에 있는 교회나 예배당을 문화 공연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렇게 되면 한국교회와 정부 모두에게 득이 된다고 했다.

 

"정부도 문화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순이 많아요. 외국에서 음악을 전공한 사람들이 돌아오면 할 게 아무것도 없어요. 교수 자리도 없고, 공연하려 해도 변변한 공연장이 없죠. 예술 전문가들은 많지만,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상황이에요.

 

마을마다 성당과 교회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그런 장소를 문화 공간으로 개방하면 좋겠어요. 정부가 어느 세월에 극장을 만들 수 있겠습니까. 그 비용은 또 누가 감당하겠습니까. 종교 시설을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면 정부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공연 프로그램을 만들어 음악가들과 계약을 맺고 공연만 주선해 주면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음악가들은 먹고살 수 있어 좋고, 주민들은 삶의 자리에서 문화를 체험할 수 있어 좋습니다. 일반 시민들이 비싼 입장료를 내야 하는 세종문화회관이나 예술의전당에서 하는 공연을 어떻게 갈 수 있겠습니까. 교회는 또 지역사회 속에서 섬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두에게 유익이 되는 일이죠."
 




 

 

 

 

 국수교회는 2년 전 파이프 오르간 제작을 완료했다. 국내 유일의 파이프 오르간 제작자인 홍성훈 오르겔바우마이스터에게 작업을 맡겼다.




 






 


 








 

교회 안에서 <중보기도>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과연 이 용어사용이 합당한지 생각해 보아야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중보라는 용어는 오직 예수님에게만 부여된 고유한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중보의 역할>은 그리스도에게 속한 고유한 것이기 때문입니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8장)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남을 위한 또는 무엇을 위하여 기도할 때 <중보기도하겠습니다>라는 용어는 부적절합니다. 이러한 때 <도고-딤전2:1>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아래에 장로교단의 법규집 <교회생활 바른 용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언)

 

 



 

 

선교회(para-church)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많이 쓰는 용어 가운데 <중보기도>라는 말이 있다. 이 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이 사용 한다면 많은 오해를 동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이 말은 중보자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해서 사용해야만 한다. 만일 중보자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다면 기독교 신앙에 많은 문제를 동반시킬 수 있다.

 

 

아마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게 된 출발점은 신자의 만인 제사장론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회에서 만인 제사장론이 충분하고 바르게 이해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전제한다면 역시 같은 문제를 낳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중보기도라는 말을 아무런 의식이 없이 사용한다면 로마교회에서 사제 중보권과 속죄권을 행사하는 것과 같은 결과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로마교회는 예수님의 중보사역을 약화 시키는 교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개혁파 교회에서는 많은 경계를 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굳이 중보기도라는 말을 사용하기 원한다면 충분한 만인 제사장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즉, 신자가 중보의 기도라는 말을 사용하여서 교제한다면 반드시 중보 자는 예수님 한 분밖에 없음에 대한 확신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사람이 하는 중보의 기도는 반드시 < 예수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만일 예수님을 제외하는 중보기도를 말한다면 그러한 신앙은 이미 사제주의를 따르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로마교회의 사제주의와도 다른 것인데 목사가 사제가 되는 결과에 이른다.

 

 

따라서 신자에게 주어진 속죄권이라는 것은 서로의 관계 속에서 용서하고 용서받을 수 있도록 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고 확인하여 그 은혜를 간직하도록 주신 방편임을 기억해서 은혜 안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로마교회의 사제주의는 사제중심으로 생각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분명하다. 로마교회의 사제주의적 입장에서는 사제 이외에 어떤 사람도 속죄를 위한 중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의 주장과는 다른 것이며 그들의 신학적인 문제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보기도라는 말은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성경에 제시되고 있는 용어로서는 도고(禱告)라는 말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intercession)

 

 

디모데전서 2장 1절에 있는 용어는 <기원>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다. 즉 이웃을 <위해서 기도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 서로를 위해서 기도는 하는 것은 중보기도라고 하기 보다는 <도고>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유일한 중보자(갈 3:19, 20, 8:6, 9:15, 히 12:34)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과 구분되도록 하는 의식이 필요하다.(언)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초청 목회자 세미나가 16일 오후 서울 논현동 서울영동교회(담임 정현구 목사)에서 개최됐다.

 

김세윤 박사는 이날 ‘칭의와 성화’를 주제로 2시간 동안 참석한 3백여명의 목회자들에게 강연했다. 김 박사는 지난해 했던 종교개혁 기념강연 내용을 기초로 올해 8월 <칭의와 성화(두란노)>를 펴낸 바 있다.

 

보수·개혁교회, 성경 비평 막아 천박한 해석 초래

예정론·성도의 견인 잘못 이해하면 ‘잘못된 안심’

 

김세윤 박사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

도덕적 타락신학적 부패 라고 요약하면서...

 

△ 사제주의, 공로(상급)신학, 스콜라 신학방법 등

   중세 가톨릭주의로의 회귀

△ 부분적이고 왜곡된 복음 등의 원인을 열거했다.

 

김 박사는 “한국 보수교회, 개혁교회는 불쌍한 성도들이 이단의 밥이 되도록 하는 ‘모판’이 되고 있다”며 “이는 성경에 대해 비평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비평을 막아버려 성경은 중세처럼 ‘닫힌 책’이 됐고, 기존 교리들이나 문자적·율법적 방식으로만 해석하게 되고, 읽기 좋아하는 구절들만 읽는 천박한 현상을 초래했다는 것.

 

그는 “보수 교회에서 어디까지나 교리에 맞춰 성경을 해석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도리어 성도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복음에 힘이 없어졌다”며 “은혜는 싸구려로 전락해 버리고, 구원파를 이단이라고 하는 한국의 정통교회가 사실상 ‘구원파적 복음’을 선포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스콜라 신학방법론과 교조주의에 의해, 닫혀버린 성경의 가르침과 설교에 의해 수십 년 가르침 받은 사람들이 아무리 큐티를 해 본들 성경 메시지를 이해할 수 없다”며 “기껏 해야 감정적으로 고양시키는 말씀을 찾거나 복 주는 말씀을 읽는 문자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했다.

 

특히 김세윤 박사는 ‘칭의의 복음에 대한 왜곡’에 주목하면서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은 사라진 지 오래”라며 “의로운 삶없는 칭의론으로 인해, 본회퍼가 말했듯 싸구려(값싼) 복음과 구원파적 복음이 판을 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박사는 “보수 교회에서는 의로운 삶을 막고, 도리어 방해하는 칭의론이 공공연히 종교개혁의 유산으로 선포되고 있다”며 “한 번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영접하면 영원히 구원받는다는 사람들에게는, 기독교 윤리란 몇 가지를 하거나 하지 않는 걸로 끝난다”고 밝혔다.

교회에서는 주일성수·헌금·전도 세 가지만 하면 되고, 술·담배·제사 세 가지만 하지 않으면 훌륭한 크리스천이 된다는 것.

 

김 박사는 “술과 담배는 음식을 가리는 문제로, 예수님은 성경에서 이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별파’들인 바리새인·서기관들과 가장 논쟁을 많이 하시지 않았느냐”며 “예수님은 입으로 들어가는 게 아니라 나오는 것이 사람을 더럽히게 한다며 이런 부분들을 싹 무시하셨는데, 정작 우리는 이것에만 집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성경은 이에 대해 두 가지로 요약하는데, 먹든지 마시든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려 하라는 것과 이웃 사랑의 관점에서 누구에게나 거치는 자가 되지 말라는 것”이라고 했다.

 

신학적으로는 칭의론에 대해 법정적 의미만 강조하고 관계적 의미를 간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법정적 의미가 중요하지만, 의(義)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관계에서 나오는 의무를 다한다는 뜻도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의는 신실한 관계이고 원만한 관계는 바로 ‘샬롬’이 되며, 죄는 관계에서 나오는 그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이것이 불의(不義)”라고 설명했다.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가 회복되었다는 차원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행위구원을 배격하기 위해 의인이 되었다는 말 대신 의인으로 칭함받았다는 말만 강조하다 보니 생긴 현상이다.

 

또 칭의의 ‘종말론적 유보의 구조’가 무시되고 있다고 했다. 김 박사는 “칭의는 지레 받았다는 선취(先取)이지, 완성이 아니다”며 “그리스도인들은 선취한 의인됨의 상태 속에서,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에 서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칭의론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로마서만 봐도 3-4장에서 칭의를 설명한 후 5장에서 ‘이 관계에 서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고도 설명했다.

 

‘예정론과 성도의 견인 교리에 대한 일방적이고 사변적 이해로 앙양된 잘못된 안심’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 박사는 “이 교리를 부인하거나 약화시키면 안 되고, ‘오직 은혜로만’을 말하려면 예정론에 대해 분명히 말해야 한다”면서도 “칭의는 ‘다가올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하심’이라는 데서 보듯 결국 미래적인 것으로, 성경은 구원으로부터 탈락의 가능성에 대해 여러 차례 분명히 경고하고(고전 10:12, 롬 11:17-24, 히 6:1-10) 있다”고 했다.

 

이밖에 “성화를 새로운 단계로 보아 버리는 우를 범했다”며 ‘구원의 서정 구도 안에서 성화론의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칭의란 사단 나라에서 하나님 나라로의 ‘주권 전이(轉移)’

성령의 도움으로 성화와 의의 열매 맺는 삶 살아야”

 

이후 김세윤 박사는 ‘칭의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회심 때 우리는 그리스도 대속 제사의 덕(은혜)를 믿음으로 입어, 우리 죄에 대한 사면을 받고(aquittal) 의인이라 칭함받는다(declared righteous)는 것이다(은혜로만·믿음으로만).

 

‘의인이라 칭함받음’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로 회복됐다는 뜻이므로, 칭의란 ‘주권의 전이’, 즉 사단의 나라에서 하나님 나라, 하나님 아들 예수가 하나님 대신 왕권을 대행하는 나라(하나님 아들의 나라)에로 이전됨을 의미한다(롬 1:3-4, 고전 15:23-28, 골 1:13-14). 그러므로 바울의 ‘칭의의 복음’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복음의 구원론적 표현이다.

 

세례 때 얻는 ‘칭의’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때 있을 최후의 심판에서 얻을 칭의의 선취에 불과하므로(롬 8:31-39), 현재 회복된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에 서 있음, 즉 하나님 백성으로서 삶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이는 하나님을 의지하고 순종함으로써, 즉 하나님의 통치를 대행하는 하나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하고 순종함으로써 가능하다.

 

하나님과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실존에서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계명을 지키라는 요구로 우리를 통치하시며, 바울은 그래서 로마서 8장까지의 ‘칭의의 복음’에 대한 강해를 12-15장에서 ‘의로운 삶에 대한 권면’으로 이어간다.

그리고 하나님과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의 영은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주권에 순종하여 이 두 계명을 지키도록 돕는다. 이러한 삶은 ‘의의 열매(빌 1:11)’를 맺음으로 하나님의 칭의된 자들임을 증거하게 되는데, 이는 곧 ‘성령의 열매(갈 5:22-23)’이다.

 

그리고 칭의는 구원의 전 과정(과거·현재·미래)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지, 믿음의 시작점(세례) 때 다 이뤄지고 성화의 단계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해선 안 된다. 앞에서 언급했듯 ‘성화’는 칭의를 따르는 구원의 새로운 단계가 아니라 구원의 전 과정을 통칭하는 또 하나의 ‘그림언어’로, 칭의와 병행되는 언어로 이해해야 한다.

 

김 박사는 “성화는 하나님께 바쳐진 백성으로서 세상의 오염을 계속 피하고 거룩하게 사는 현재성을 띠어야 한다”며 “이러한 의미에서 칭의론을 실제적으로 의로운 삶을 살라는 윤리적 요구와 분리시키는 구원파적 왜곡은 ‘언어도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그는 <칭의와 성화>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 우리는 바울의 구원론을 ‘칭의-성화-영화’의 세 단계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틀리진 않았지만 정확하지도 않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전통 신학계 ‘구원의 서정’에서의 ‘성화’는 칭의의 현재 단계에 대해 이름을 잘못 붙였다는 것. 그에 따르면 칭의 다음이 성화가 아니라, 둘은 같은 실재를 말하는 다른 그림언어들(metahpors)이다.

 

칭의가 죄를 불순종으로 하나님의 징벌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 구원을 이 죄를 해결하는 것이라 표현하는 법정적 뉘앙스라면, 성화는 죄를 하나님께 나아가지 못하는 세상의 오염으로 보고 구원이 이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는 제의적(cultic) 뉘앙스이다. 한 마디로 ‘성화’는 칭의의 구조 속 현재적 삶을 지칭하는 또 하나의 동의어적 어휘이다.

 

이렇게 보면, ‘성화’는 확정된 구원 이후 하늘나라 상급의 구도가 아니라, ‘칭의된 자’로서 우리로 하여금 의롭게 살려고 더 노력하게 만든다.

 

김세윤 박사는 “‘은혜로만·믿음으로만’의 구원과 윤리적 요구의 통합이라는 논지가 생소하게 들리겠지만, 칭의(장로교)와 성화(감리회·성결교) 중 어떤 면을 강조하는 전통에 속하든 우리 모두 칭의론은 결국 하나님 또는 하나님 아들의 주권에 대한 ‘믿음의 순종(롬 1:5, 16:26)을 골자로 함을 잊지 않아야 한다”며 “이로써 의로운 삶을 무시하거나 방해하는 그릇된 칭의론이 아니라, 이를 요구하고 가능하게 하는 올바른 칭의론을 믿고 선포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고 정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세윤 박사는 “삼위일체적 하나님에 의해 즉 하나님 은혜로만 이뤄지고 지탱되는 우리의 칭의·구원에 대한 확신을 갖고, 우리는 우리의 칭의(구원)를 ‘두려움과 떨림으로’ 이뤄가야 한다”며 “하나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하고 순종하여, 즉 우리의 실존에서 그의 하나님·이웃 사랑의 계명을 성령의 도움으로 지킴으로써 의의 열매를 맺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연을 마무리했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때 있을 하나님의 최후 심판을 늘 의식하면서 의인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 민중 지난 20여 년 간 해외지식 늘고

감시공포 줄어 독재체제 도전할 세력 성장

 
 



 

올해는 4월 혁명 55주년을 기념하는 해이다.

1960년 4월 19일 남한 주민은 부패한 독재정권에 도전하고 나라의 운명을 직접 결정짓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

 

북한의 미래를 생각하면 4월 혁명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55년 전에 서울에서 벌어진 일은 향후 평양에서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말하면 북한 민중의 운동에 의한 흡수통일은 거의 유일한 통일의 시나리오로 보인다. 그러나 이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이 같은 시나리오를 무조건 환영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요즘 흡수통일이란 단어는 한국 언론, 정치에서 거의 금기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인은 비싸고 혼란스러울 수 있는 흡수통일보다 남북 정권이 회담을 통해 타협적으로 이뤄나가는 단계적이며 점진적인 공존통일에 희망을 걸고 있다. 정치인들은 공존통일과 다른 방식을 주장하고 나서면 당선되기도 힘들다.

 

정치인들이, 유권자들이 듣고 싶은 이야기만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유감스러운 사실은 공존통일 희망은 현실성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연방제 국가라고 하더라도 수령을 중심으로 한 독재체제를 유지하는 북한은 민주제를 실시하는 남한과의 통일이 불가능하다.

 

북한의 정치 엘리트는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의 확산이나 주민 감시가 완화되는 것을 치명적인 위협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공존통일의 방향으로 한 걸음도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공존통일을 준비하는 단계라도 북한 민중이 남한 생활에 대한 ‘위험한 지식’을 많이 배우고, 반면에 체제에 대한 공포감이 약화된다면 자발적인 혁명의 가능성은 크게 높아질 것이다. 북한 엘리트들에게는 공존통일을 시도하는 것이 집단자살과 다를 바 없는 정책이라고 생각할 만한 이유가 충분한 셈이다.

 

좋아하든 싫어하든 북한 체제가 변해야 통일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세력은 북한 민중밖에 없다.

 

간부들로 구성된 북한의 세습 집권계층이 현상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돈 주’로 알려진 신흥 사업계층 역시 체제를 반대하고 통일을 지지하는 세력이 아닐 수도 있다. 그들은 정치 체제에 대해 부정적인 의식을 갖고 있지만 냉정하게 말하면 남한과 외부의 경쟁을 차단할 독립국가 북한이 절실하게 필요하기 때문이다.

 

남한을 비롯한 외부 세력은 북한 핵개발과 인권 침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북한 정치노선의 변화를 원한다. 그럼에도 북한 정권의 붕괴가 초래할 혼란이나 비싼 통일비용에 대한 우려 때문에 북한 내부의 위기를 적극적으로 촉진하려는 의지가 별로 없다.


 


 



 

북한 사회의 서열 밑바닥에 있는 서민은 체제에 도전하고 통일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세력이다. 통일이 되면 하루아침에 그들도 남한 주민처럼 개인의 자유, 물질적인 안락, 사회적 복지를 누릴 수 있음을 믿게 된다면 말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엄격한 감시와 진압 때문에 남한의 4월 혁명이나 6월 항쟁과 같은 대중운동이 북한에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난 15∼20년 사이에 주민에 대한 감시완화 및 해외에 대한 지식의 확산이 이뤄졌을 뿐 아니라 보위부 같은 치안 기관에 대한 공포감도 어느 정도 줄었다.


 

또 공산권 위기의 역사를 살펴보면 폭력 혁명이 발생한 나라는 오직 하나밖에 없었다. 역설적으로 이 나라는 주변의 동유럽 정권보다 주민들을 더 엄격하게 통제했던 루마니아였다.

 

물론 혁명적 흡수통일밖에 통일을 이루는 시나리오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이런 시나리오를 바람직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는 있다.


 

세계 역사가 잘 보여주듯 폭력과 혼란을 가져오는 혁명보다 점진적인 진보와 진화가 훨씬 나은 방법이다.

북한 엘리트 계층이 개혁을 시작하려는 조짐이 보이는 상황에서 북한의 연착륙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혁명보다 단계적인 변화를 환영할 만한 이유다.

그렇지만 이 같은 연착륙이 통일보다는 평화공존 원칙에 의한 남북 분단의 장구화(長久化)를 의미할 수도 있다.

 

북한에서 혁명이 불가능하지 않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런 맥락에서 얼마 전에 화제가 됐던 정종욱의 ‘흡수통일 준비 팀’ 발언에 대한 남한 사회의 부정적인 반응은 잘못된 것이다. 북한 혁명과 흡수통일을 바라지 않고 북한의 진화를 지지하는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러나 혁명이 발발할 가능성도 없지 않은 상황에서 적절한 준비와 계획을 마련하는 것은 정부의 의무다.

 

안드레이 란코프 객원논설위원 국민대 국제학부 초빙교수 




 


 




 



 




 











 




 


 



 


 




 










우리는 가끔 신문(新聞)이 아니라

지나간 구문(舊聞)을 읽으며

즐거운 시간을 가질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5년 전 제가 썼던 칼럼을 꺼내

함께 읽어보기로 합니다.

제 자신의 글인데도

남의 글을 읽는 것 같은 호기심이 발동하는군요.








 

연말이 되면 언론사들이 앞을 다투어 한 해의 거창한 10대 뉴스를 보도합니다만 오늘은 작고 작은 존재로 살아 온 <장재언의 2010년> 한 해를 돌아보며 나에게 와 닿았던 것. 나에게 영향을 준 것들.  내 작은 삶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킨 것들. 내가 곱씹어보면서 살아 온 생활의 주제들을 한 번 모아보았습니다.

 

미국 생활이 오래되면 한국적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만 나도 거기에 속하는 것 같습니다. 

한국적인 것이 굉장히 멋있게 받아들여지는 한 해였습니다.

예전에는 색동무늬, 한지포장지, 한국 음식, 비빔밥, 한국 술 막걸리 하면... 쾌쾌묶은  옛날 것, 전통적인 것, 유행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걸리가 세계적인 유행을 타고 비빔밥이 뉴욕타임즈 특집으로 나오고... 

 

한국적인 것의 멋스러움을 손꼽게 되는 한 해였습니다.  세계의 작곡가들이 가장 아름다운 노래로 <아리랑>을 뽑았다니 한국적인 것을 멀리했던 자신이 좀 부끄럽기까지 했습니다. 

 

어떤 분의 표현을 빌리자면 코리안 시크(Chic 멋스러움)를 발견했다는 말입니다. ....  <한국적인 것의 멋>의 발견이 2010년 내가 꼽는 첫 번 째 키워드입니다.


 

예전에는 한국 사람들이 파리로 배낭 여행을 가고 반드시 미국을 다녀와야 하고 홍콩에 쇼핑 하러 가는 등 자기 집을 떠나 먼 곳을 갔다 와야 멋지게 사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2010년은 <내 집 앞> <동네> <골목> <고삿길>에 초점을 맞춰 <동네의 아름다움에 주목>하는 한 해였습니다.  묵향이 짙은 인사동 뒷골목이 그리워지고 종로 삼청동의 골목길의 운치가 빛이 나는 한 해였습니다.

 

손바닥만한 내 집 뒤뜰에 핀 아름다운 꽃이 더욱 빛나 보이는 한 해. 사람들은 자기 집 앞을 사진 찍어 블로그에 올리고 그것에 관해 인터넷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2010년은 <사소한 것>에 주목하는 한 해였습니다.


 

과거에는 사법고시 통과하면 판사 검사 변호사가 된다.. 이렇게 정해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의사가 되어야만 부모님께 멋있는 자식이 되는 시대였습니다.

 

그러나 2010년은 점차 자기의 직업이 있더라도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것 즉 인터넷 방송을 해 보는 것이라든가 내가 만든 뮤직비디오를 핸드폰으로 찍어서 유튜브에 올려보는 것 등등 <딴 짓>이 주목 받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미국의 Life Church는 성경 앱 <YouVersion>이라는 스마트폰 앱(app, 어플리케이션의 준말) 사역을 시작해 한 해 사용자가 8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전통적인 교회의 입장에서는 분명 딴짓입니다. 

YouVersion의 목표는 2011년 1월에 사용자들이 성경을 10억 분(minute)을 읽게 하는 것입니다.

 

그뿐입니까. 한국에서 고등학생들이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서 억대의 부자가 되는 시대입니다.  당신의 <딴 짓>을 개발하라...

 


 

60이면 노인 취급을 받던 시대는 갔습니다. 의학과 의료시설 그리고 식생활의 변화로 더 오래오래 살게 된 세상입니다.

 

유행했던 말 중에 <스키니 맘>(Skinny Mom)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스키니 맘이란, 아이를 낳았는데도 스키니 진을 입을 수 있는 날씬한 엄마를 일컫습니다.

 

내 자신도 나이에 비해 젊어 보인다는 말을 듣습니다만 동갑내기를 만나보면 나보다 더 젊어 보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국 더 젊게 사는 세상이 되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젊어지면 뭘하며 더 오래 살면 뭘합니까.  자기가 할 일이 있어야 합니다. 일 거리 없는 장수는 축복이 아니라 고역일 뿐입니다.

보이톡스(BoyTox) 즉 젊어지려고 남자들이 보톡스 맞는다는 유행을 따르지 말고 자기 할 일을 계발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습니다.


 

 컴퓨터 사역을 계속하면서 올 해로 10년을 맞습니다. 단 한 주간도 휴가 없이 지내왔습니다. 가까운데 여행을 위한 여행을 가 본 적이 없었습니다. 어리석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영화 <쇼생크의 탈출>에 보면 모건 프리먼이 가석방 심사를 받으면서 이렇게 말을 합니다.

<저는 지금 마음 자세가 잘 되어 있고, 가석방을 해주시면 나가서 착하게 살겠습니다.>
 

그런데 이 말을 할 때마다 모건 프리먼은 가석방 심사에서 떨어집니다. 나중에는 포기하고 절박함 없이 <이 세상은 개떡 같아서 나가서 별로 할 것도 없고... 안 나겠습니다.> 라고 했더니 가석방 승인이 나 감옥을 나가게 됩니다.

 

여기서 시사해 주는 것은 절박하고 절절해서 무엇인가를 추구하고 공부하고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여유 있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줍니다.

생을 살 때 너무 절박하게 마치 싸우는 듯 사는 것은 생을 피곤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열심히 살면서도 여유 있게 사는 즐김의 원리를 터득하는 게 중요한 것입니다.


 

 

요즘은 세계적인 불경기로 모든 사람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삽니다. < 가난>이라는 주제를 생각하게 합니다.

 

성경에서는 뭘 꼭 내 것으로 챙겨놓지 않더라도 하늘이 먹여주고, 땅이 먹여준다는 믿음을 가지라는 뜻으로 <가난>을 말씀합니다. 그리고 이미 나에게 주어진 것을 누리고 만족할 줄 알아라. 쌓아놓고, 쟁여놓고 이런 것을 즐기지 마라 라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이 가난의 핵심이 뭐냐 면 <누리는 능력>이라는 것입니다.

 

너무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한 해는 오히려 우리 삶에서 다 누리지 못하고 넘어가는 것이 굉장히 많다는 것을 눈 여겨 찾게 합니다.

 

나는 과연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마음껏 누리고 있는가.  내가 알고 있는 사람들의 은혜를 누리고 있는가. 나의 가족들의 관계에서 오는 혜택을 누리고 있는가.  내가 집이라는 공간 안에서, 시간 안에서 나는 충분히 누리고 있는가.

 

쟁여 놓기만 하고. 어딘가에. 나의 소유로는 확인했지만 내가 한번도 누리지 못한 소유가 있지 않은가.

 

여러분의 찬장에 쌓아 둔 그 좋은 접시는 언제 꺼내서 사용하시겠습니까? 지금 꺼내서 누리십시오.

 

장미는 자기 향기를 다 발산 하는데 12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장미 향기를 다 맡아 보려면 우리가 12시간 장미 향기를 음미 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순간적으로 장미 냄새를 맞고서 장미 향기를 맡았다고 말합니다.  한 순간에 누린 것을 가지고 12시간을 누린 것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한 해의 가난은 나를 힘들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누림>을 깨우쳤으니 감사할 일입니다.

 

<무소유>란 말이 있었습니다만 소유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소극적이고 뭔가 <의미 없는 선택>에 불과한 것입니다. <가난>은 적극적이고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누리기 위한 선택이어야 할 것입니다.

 

<가난>한데 어디서 누림이 올까? <감사>에서 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지진. 화산의 폭발. 식량난. 에이즈 확산. 풀리지 않는 경제난 등이 뒤범벅이 된 이 한 해가 우리를 영적이게 했습니다. 지구의 종말이 다가왔다는 말을 이 한 해처럼 많이 들어본 일이 없습니다.

 

세상사람들이 속으로 두려움을 갖게 되었습니다. 보이는 세상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세상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뿐 아니라 내일 그리고 영원한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영적인 삶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눈으로 보이는 대로 보고, 생각하고, 사는 것이 아니라 우리 육안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하나님의 뜻대로 보고, 하나님의 생각으로 생각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찬송가 344장을 불러봅니다.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보여도 말씀만을 가지고서 늘 걸으며, 이 귀에 아무 소리 아니 들려도 하나님의 약속 위에 서리라>

 

무슨 뜻입니까?

성경의 말씀을 따라 살 때, 영적인 삶은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크리스천에게 영적인 삶이란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인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장재언) 
 




 


 



 




 



 

 


 
 




 



 

 





 









 

 

사투리에 담긴 삶의 풍경을 '방언정담'이란 책으로 펴낸 국어학자 한성우 교수는 충청도 화법을 '느린 화법'이 아니라 '접는 화법'이라고 했다.

분노에 차 하고 싶은 말이 종이 한 장 분량이라면 반을 접는다.

칭찬이라면 반의반을 접고,

사랑의 표현이라면 또 반을 접는단다.

 

1992년 가을, 오비 베어스와 빙그레 이글스 경기가 열린 잠실야구장. 관중석에 이글스를 응원하는 충청도 남자 몇이 앉았다. 줄곧 2대0으로 끌려 다니던 이글스가 9회초 대역전 기회를 맞았다. 투아웃에 터진 안타, 그리고 볼넷. 다음 타자가 장종훈이다. '호무랑' 한 방이면 끝난다.

 

그러나 너무 높이 뜬 공, 펜스를 넘기지 못하고 잡혔다. 실망을 안긴 선수에게 욕설을 퍼부을 법도 한데, 충청도 아저씨들 이 한마디 내뱉고 주섬주섬 일어선다. "뭐여......"

 

"그러고도 장종훈이 니가 홈런 타자냐? 고따위로 야구 할라믄 때려쳐라" 할 수도 있지만, "뭐여~" 한마디로 접는 게 충청도 사람이란다.

 

그래서 오해도 받는다. 본심을 드러내지 않아 속을 알 수 없다, 우유부단하다며 흉본다.

 

한데 충청도 토박이 입장에선 할 말이 많다. 바로 말하지 않고 에두르는 건 상대에 대한 배려다. 면전(面前)에 대고 욕을 하다니... 시시콜콜 따지며 덤벼드는 건 상것들이나 하는 짓이라고 배웠다. 충청도 말에 비유가 많은 건 그 때문이다.

 

요즘 한국은 선거 철이다. 보궐선거도 선거니까....

선거 때 여론조사원이 충청도에 가서 "기호 1번이 좋으냐, 2번이 좋으냐" 물었다. 하나같이 "다들 훌륭한 분이라고 하대유" 한다.

 

여간 해 속을 보여주지 않는 기질 탓에 후보자들은 애가 탄다.

"꼭 좀 부탁 드린다"는 애원에 "너무 염려 말어..."

"글씨유, 바쁜디 어여 가봐유" 했다면 해석은 가능하다.

전자는 '찍어준다'에 가깝고 후자는 '틀렸다'에 가깝다. 그마저도 "냅둬유" "종쳤슈"라면 상황 끝이다.

 

요즘 한국 사회는 말이 너무 거칠고 사납다. 거칠다 못해 살을 깎고 생명을 죽이기 까지 한다. 국민들의 마음을 순화시킬 필요가 있다. 아무리 잘못했어도 눈을 뒤집고 죽일 놈 살릴 놈 할 것이 아니라 "뭐여...." 하면 된다.  충청도 말투의 심오함을 좀 배워야 한다.(언)  



 


 


 




 




 



 

 




 



 









 

 


 

1월



Ambitious and serious 야심가이며, 진지하다.

Very Stubborn 매우 완강하다. (불굴의)
Loves to teach and be taught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
Always looking at people's flaws and weaknesses 항상 사람들의 흉과 약점을 본다.
Knows how to make others happy 다른 사람을 어떻게 행복하게 만드는지 알고 있다.
Likes to criticize 비판하기를 좋아한다.

Rather reserved 수줍음이 많다.
Hardworking and productive 열심히 일하고, 생산력이 있다.

Loyal 충직하다.
Quiet unless excited or tensed 조용하고, 흥분하거나 긴장하는 일이 적다.
Highly attentive 매우 상냥하다.

Loves children 아이들을 사랑한다.
Needs to improve Social abilities 사회적인 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Resistant to illnesses but prone to colds 면역성이 좋지만, 감기에 걸리기 쉽다.
Romantic but has difficulties expressing love 로맨틱하지만, 사랑 표현이 서툴다.
Smart, neat and organized 똑똑하고, 깔끔하며 정리되어 있다.
Sensitive and has deep thoughts 민감하고 (여리고), 생각이 깊다.
Homely person 수수한 사람이다.

Easily jealous 쉽게 질투한다.



 

2월



Abstract thoughts 추상적인 생각이 많다.

Intelligent and clever 총명하고 꾀가 많다.
Loves reality and abstract 현실적인 것과 이론적인 것을 좋아한다.
Changing personality 다혈질이다. (가변적인 성격)

Temperamental 변덕스럽다.
Quiet, shy and humble 조용하고, 수줍음을 타며 겸손하다.

Ambitious 야망가이다.
Low self esteem 자기 존중이 낮다.

Honest and loyal 성실하고, 충성심이 깊다.
Determined to reach goals 목표를 향한 결심이 굳다.
Rebellious when restricted (자유가) 제한되어 있을 때는 반항적이다.
Loves aggressiveness 공격을 좋아한다. (공격적)

Sharp (감각적으로) 예민하다.
Too sensitive and easily hurt 과민해서(너무 예민해서), 쉽게 상처받는다.
Showing anger easily 쉽게 화를 낸다.

Spendthrift 씀씀이가 헤프다.
Dislike unnecessary things 필요없는 (잡다한) 것들을 싫어한다.
Loves making friends but rarely shows it 친구 사귀는 것을 좋아하나 드러내지 않는다.
Daring and stubborn 모험적이고 씩씩하다.

Loves freedom 자유를 사랑한다.
Realizing dreams and hopes 꿈과 희망을 현실화시킨다.
Loves entertainment and leisure 오락과 여가를 좋아한다.
Romantic on the inside not outside 겉으로 표현은 않지만, 속으로는 로맨틱하다.
Superstitious and ludicrous 미신을 잘 믿고, 익살스럽다.
Learns to show emotions 자신의 감정들을 드러낼 줄 안다.



 

3월



Attractive personality 매력적인 성격.

Shy and reserved 부끄럼이 많고, 말수가 적다.
Affectionate 상냥하다.

 Not easily angered 쉽게 화내지 않는다.
Secretive 비밀스럽다.

Loves to serve others 다른 사람을 접대하기를 좋아한다.
Naturally honest, generous and sympathetic 성실하고, 관대하며 동정심이 많다.
Loves peace and serenity 평화와 고요를 좋아한다.

Trustworthy 믿음직스럽다.
Sensitive to others 다른 사람 걱정을 많이 한다.

Revengeful 복수심이 강하다.
Appreciative and returns kindness 눈이 높고, 친절을 잘 되돌려준다.
Observant and assesses others 다른 사람을 객관적이며, 올바르게 평가한다.
Loves to dream and fantasize 공상이나 상상하는 것을 좋아한다.
Loves traveling 여행을 좋아한다.

Musically Talented 음악적 재능이 있다.
Hasty decisions in choosing partners 파트너를 고르는 데 경솔하다.
Loves home decors 실내 장식을 좋아한다.

Loves attention 배려를 좋아한다.
Loves special things 특별한 것을 좋아한다.

Moody 변덕스럽다. (우울하다)



 

4월



Active and dynamic 활발하고 동적이다.

Strong mentality 강한 정신력을 가지고 있다.
Decisive and haste but tends to regret 급한 성격, 결단력이 있지만, 후회하는 편.
Attractive and affectionate to oneself 매력적이고 다른 사람에게 상냥하다.
Loves attention 배려를 좋아한다.

Consoling (다른 사람을) 위로해 주는 성격이다.
Diplomatic 사교적이다.

Loving and caring (무언가를) 사랑하고 돌봐주는 성격이다.
Friendly and solves people's problems 다른 사람의 고민을 살갑게 잘 해결해 준다.
Brave and fearless 용감하고 겁이 없다.

Suave and generous 관대하고, 부드럽다.
Adventurous 모험적이다.

Motivate oneself and the others 다른 사람들을 자극한다.
Emotional 감정적이다. Hasty 성급하다.

Moving 잘 선동한다.

Aggressive 공격적이다.
Sickness usually of the head and chest 머리와 가슴에 질병이 날 확률이 높다.




 

5월



Stubborn and hard-hearted 완강하고 심지가 굳다.

Easily angered 쉽게 화난다.
Strong-willed and highly motivated 의지가 강하고 동기 (목적) 가 높다.
Sharp thoughts 날카로운 (예리한) 생각들. (어쩌면 추리력일지도)
Deep feelings 감정을 깊게(?) 느낀다.

 Easily consoled 쉽게 협력한다.
Beautiful physically and mentally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아름답다.
Firm Standpoint 견고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Strong clairvoyance 비상한 통찰력.
Needs no motivation 동기를 자극할 필요가 없다.

Good physical 건강이 좋다.
Systematic (left brain) 좌뇌가 발달되어, 계획적이다.

Restless 휴식이 적다.
Loves to dream 꿈꾸는 것, 곧 공상하기를 좋아한다.

 Loves traveling 여행을 좋아한다.
Sickness usually in the ear and neck 주로 귀와 목의 질환을 가지고 있다.
Good imagination 상상력이 좋다.

Understanding (다른 사람을) 잘 이해한다.
Weak breathing 호흡 (기관지 쪽) 이 약하다.

Hardworking 열심히 일한다.
Loves literature and the arts 문학과 예술을 좋아한다.

High spirited 정신연령이 높다.
Dislike being at home 집에 계속 있는 것을 싫어한다.

Spendthrift 낭비벽이 있다.
Not having many children 자녀를 많이 두지 않는다.



 

6월



Thinks far with vision 목표를 높게 잡는다.

Active mind 활동적인 (개방적인) 마음.
Easily influenced by kindness 친절에 쉽게 감동한다.

 Sensitive 예민하다.
Polite and soft-spoken 정중하고, 부드럽게 말한다.

 Hesitating 결단력이 없다.
Having lots of ideas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Temperamental 변덕스럽다.
Tends to delay 지연하는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Loves to joke 농담을 좋아한다.
Choosy and always wants the best 항상 최고를 원하고, 선택한다.
Funny and humorous 재미있고 유머감각이 있다.

Daydreamer 몽상가이다.
Good debating skills 토론 능력이 좋다.

Easily hurt 쉽게 상처받는다.
Talkative 말수가 많으며, 말하기를 좋아한다.

Easily bored 쉽게 지겨워한다.
Knows how to make friends 친구를 사귀는 것에 능숙하다.

 Friendly 친밀하다.
Able to show character 개성을 잘 표출한다.

Abiding 변함이 없다.
Prone to getting colds 감기에 잘 걸리는 경향이다.

Fussy 까다롭다.
Loves to dress up 옷을 갈아입는 것을 좋아한다.

Stubborn 고집이 세다.
Seldom shows emotions 좀처럼 감정을 내보이지 않는다.
Takes time to recover when hurt 상처를 입었을 때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Brand conscious 강한 흔적을 주는 의식.

Executive 실천적이다.
 








 

 

7월

 


Fun to be with 같이 있으면 재미있다.

Easily consoled 잘 협력한다.
Difficult to fathom and to be understood 추측하거나 이해하기가 힘들다.
Quiet unless excited or tensed 조용하고, 흥분하거나 긴장하는 일이 적다.
Takes pride in oneself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Secretive 비밀스럽다.
Concerned about people's feelings 다른 사람의 기분에 대해 잘 걱정한다.
Temperamental and unpredictable 변덕스럽고 예측할 수 없다.

Friendly 친밀하다.
Moody and easily hurt 우울하고 쉽게 상처받는다.

Approachable 사귀기가 쉽다.
Witty and sparkly 익살맞고 생기있다.

Not revengeful 복수심이 적은 편이다.
Forgiving but never forgets 용서하지만, 잊지는 않는다.

Emotional 감정적이다.
Dislikes nonsensical and unnecessary things 이치에 어긋난, 필요없는 것을 싫어함.
Guides others physically and mentally 다른 사람들을 물리적, 정신적으로 안내한다.
Caring and loving (무언가를) 잘 돌보고, 사랑한다.

Tactful 재치있다.
Treats others equally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하다.

Hardworking 열심히 일한다.
Strong sense of sympathy 동정심이 많다.

Wary and sharp 방심하지 않고, 예민하다.
Judges people through observations 사람을 관찰함으로써 판단한다.
No difficulties in studying 공부를 쉽게 한다.

Honest 성실하다.
Loves to be alone 혼자인 것을 좋아한다.

Homely person 수수한 사람이다.
Always broods about the past and the old friends 항상 오랜 친구들을 생각한다.
Likes to be quiet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

Waits for friends 친구를 기다린다.
Never looks for friends 절대로 친구를 나서서 사귀지 않는다. (찾아나설 필요가 없다)
Not aggressive unless provoked 자극하지 않으면 공격하지도 않는다.
Prone to having stomach and dieting problems 위장, 소화기 관련 병에 걸리기 쉽다.
Loves to be loved 사랑받는 것을 좋아한다.

Has reputation 주위 평판이 좋다.
Easily hurt but takes long to recover 쉽게 상처받고 회복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8월



Loves to joke 농담하는 것을 좋아한다.

Careful and cautious 조심스럽고 신중하다.
Firm and has leadership qualities 굳건하고 리더쉽 능력이 좋다.
Suave and caring 상냥하고, 잘 돌본다.

Thirsty for praises 찬양에 목말라 한다.
Brave and fearless 용감하고 겁이 없다.

Easily jealous 질투심이 많다.
Knows how to console others 어떻게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지 잘 안다.
Too generous and egoistic (자신에게) 너무 관대하고, 자기 멋대로다.
Takes high pride of oneself 자존심이 굉장히 세다.

Easily angered 쉽게 화난다.
Extraordinary spirit (평범하지 않은) 보통 사람과 다른 정신.

Romantic 로맨틱하다.
Angry when provoked 약올리거나 자극하면, 화를 낸다.

Observant 주의가 깊다.
Thinks quickly 생각이 빠르다.

Independent thoughts 독립적인 생각들을 갖는다.
Loves to lead and to be led 리드하기를, 혹은 누군가에게 리드되기를 좋아한다.
Loves to dream 꿈꾸는 것을 좋아한다.

Hasty and rusty 성급하고, 서투르다.
Talented in the arts, music and defense 예술, 음악, 그리고 방어에 재능이 있다.
Sensitive but not petty 예민하지만, 속이 좁지는 않다.
Poor resistance against illnesses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다.
Learns to relax 휴식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Attractive 매력적이다.
Loving and caring (무언가를) 사랑하고, 돌본다.
Loves to make friends 친구를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9월

 


Suave and compromising 상냥하고, 타협한다.

Calm and cool 조용하고 쿨한 성격이다.
Careful, cautious and organized 조심성이 많고, 신중하며 계획적이다.
Likes to point out people's mistakes 다른 사람의 실수를 잘 집어 낸다.
Likes to criticize 비판하기를 좋아한다.

Does work well 일을 잘 한다.
Quiet but able to talk well 조용하지만 말을 조리있게 하는 능력이 있다.
Concerned and detailed 걱정을 많이하며, 세심하다.

Thinking 사색적이다.
Trustworthy, loyal and honest 신뢰할 만하고, 충성심이 깊으며 성실하다.
Very confident 자신감에 차 있다.

Good memory 기억력이 좋다.
Clever and knowledgeable 꾀가 많고 지식이 풍부하다.

Sensitive 예민하다.
Loves to look for information 정보를 찾는 것을 좋아한다.

generous 관대하다.
Must control oneself when criticizing 다른 사람을 비판할 때, 흥분을 가라앉혀라.
Able to motivate oneself 사람을 자극할 줄 안다.

Understanding 이해심이 많다.
Fun to be around 주위에 있으면, 재미있다.

Secretive 비밀스럽다.
Loves sports, leisure and traveling 운동과 여가, 여행을 좋아한다.
Hardly shows emotions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Systematic 조직적이다.
Tends to bottle up feelings 감정을 억누르는 경향이 있다.
Choosy especially in relationships 사람을 가려 사귀는 경향이 있다.
Loves wide things 넓은 (범위의) 것들을 사랑한다.
 


 


 

10월

 



Loves to chat 대화하기(수다떨기)를 좋아한다.

Sympathetic 동정심이 많다.
Loves those who loves him 자신을 좋아해주는 사람을 좋아한다.
Loves to takes things at the center 가운데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좋아한다.
Attractive and suave 매력적이며, 상냥하다.

Daydreamer 몽상가이다.
Inner and physical beauty 내면과 신체가 아름답다.

Emotional 감정적이다.
Does not lie or pretend 거짓말을 하거나 꾸미지 않는다.

Romantic 로맨틱하다.
Opinionated 자기 주장이 완고하다.

Touchy and easily jealous 과민하며, 질투가 많다.
Spendthrift and easily influenced 씀씀이가 헤프고, 쉽게 영향을 받는다. (감화된다)
Easily lose confidence 쉽게 자신감을 잃는다.

Loves children 아이들을 사랑한다.
Always making friends 항상 친구를 만든다.

Decisive 단호하다. (결단력이 있다)
Loves outdoors 야외를 좋아한다. Just and fair 절대적이고 정당하다.
Does not care of what others think 다른 사람의 생각을 신경쓰지 않는다.
Strong clairvoyance 통찰력이 비상하다.

Concerned 걱정이 많다.
Loves to travel, the arts and literature 여행과 예술, 문학을 사랑한다.
Soft-spoken, loving and caring 부드럽게 말하며, 사랑하고, 돌본다.
Easily hurt but recovers easily 쉽게 상처받지만, 쉽게 회복한다.
Treats friends import!!!!antly 친구들을 중요하게 여긴다.
 




 

11월

 


Has a lot of ideas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Extraordinary ideas 발상이 비범하다.
Difficult to fathom 이해하기 어렵다.

 Unique and brilliant 독특하고 화려하다.
Thinks forward 미래를 생각한다.

Can become good doctors 좋은 의사가 될 수 있다.
Fine and strong clairvoyance 고상하고 통찰력이 좋다.

Sharp thinking 예리하다.
Dynamic in personality 동적인 성격이다.

 Inquisitive 호기심이 강하다.
Knows how to dig secrets 비밀을 캐내는 방법을 알고 있다.

Secretive 비밀스럽다.
Less talkative but amiable 말은 적지만, 붙임성 있다.

Always thinking 항상 생각한다.
Thinks differently from others 다른 사람들과는 생각이 다르다.

Homely 수수하다.
Motivates oneself (다른 사람을) 자극한다.

High-spirited 정신연령이 높다.
Does not appreciates praises 칭찬(찬양)을 높이 사지 않는다.

Romantic 로맨틱하다.
Well-built and tough 견고하고, 거칠다.

Deep love and emotions 깊은 사랑과 감정들.
Uncertain in relationships (인간) 관계가 모호하다.

Hardworking 열심히 일한다.
Honest and keeps secrets 성실하고 비밀을 지킨다.

Trustworthy 신뢰할 만 하다.
Brave and generous 용감하고, 관대하다.

Never give up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다.
Stubborn and hard-hearted 고집이 세고 심지가 굳다.

Patient 인내심이 있다.
If there is a will, there is a way 바란다면, 해낸다.

Determined 단호하다.
Hardly becomes angry unless provoked 자극하지 않으면 거의 화내지 않는다.
Loves to be alone 혼자 있기를 좋아한다.

Sharp-minded 예민하다.
Not able to control emotions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Unpredictable 예측할 수 없다.

High abilities 능력이 높다.
 



 

 

12월



Loyal and generous 충성심이 깊고, 관대하다.

Patriotic 애국심이 투철하다.
Active in games and interactions 게임과 상호 작용에 활발하다.
Impatient and hasty 조급하고, 경솔하다.

Loves praises 칭찬을 좋아한다.
Influential in organizations 조직에 잘 적응한다.

Ambitious 야심가이다.
Fun to be with 함께 있으면 재미있다.

Loves attention 배려를 좋아한다.
Loves to socialize 사회적 활동을 좋아한다.

Not pretending 겉치레 하지 않는다.
Loves to be loved 사랑받는 것을 좋아한다.

Not egoistic 이기적인 면이 없다.
Honest and trustworthy 성실하고 신뢰감 있다.

Good sense of humor 재치가 있다.
Short tempered 무뚝뚝한 기질이 있다.

Hates restrictions 제한을 싫어한다.
Changing personality 다혈질이다. (가변적인 성격)

Logical 논리적이다.
Take high pride in oneself 자존심이 세다.

Loves to joke 농담하기를 좋아한다.
 





 



 

 




 

 

 



 


















[이슈 분석] 제주도가 중국인에게 넘어가고 있다?

 

최근 중국 자본이 제주도로 향하면서 제주도가 중국자본에 점령당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제주도 땅 사는 중국인, 왜?


 

중국인이 보유한 제주도 토지 면적은 2011년 141만5000㎡, 2012년 192만9000㎡, 2013년 315만㎡, 2014년 833만8000㎡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증가율이 164%에 달했다.

 

중국인이 제주도 땅을 사들이는 이유는 제주로 몰리는 관광수요 때문이다. 접근성과 청정환경을 갖춘 제주도가 중국 관광객(요우커) 사이에서 최적의 관광지로 부상하면서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투자수요도 따라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싱가포르 대표 복합리조트 기업인 겐팅그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구애에도 제주행을 택해 주목받았다. 화교재벌인 말레이시아 겐팅그룹은 중국 란딩그룹과 합작법인(람정제주개발)을 설립, 지난해 2월 제주도 복합리조트 '신화.역사공원' 착공에 들어갔다.

국토교통부 산하 제주개발 전담 공기업인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관계자는 "최근 중국 정부가 외환보유 균형을 위해 위안화 해외투자를 장려하면서 안정적 투자처인 제주도가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자본에 너무 쉽게 제주를 넘겨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관계당국은 이점이 더 크고 방어장치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JDC관계자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캐나다.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외자는 중국자본만 들어오고 있다"며 "이는 거스를 수 없는 시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14년에는 복합리조트 투자를 맡은 람정제주개발이 중국인 소유 면적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31만9000㎡에 대한 소유권 등기를 마쳐 수치가 급증했지만 투기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 외자 습격? / "방어장치 충분"



 

제주도 전체 면적 대비 외국인 토지 보유 비율이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2015년 3월 현재 그 비율은 전체 제주도 면적의 0.9%에 불과하다. 아직 10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아직 절대적으로 비율이 낮은데도 위와 같은 우려가 제기되는 것은 매년 급등하는 제주도 지가 때문이다. 지난해 제주도의 전년 대비 토지가격 상승률은 3.7%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중국인 토지 매수뿐 아니라 내국인 유입인구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오랫동안 저평가됐던 제주도 지가가 제대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건전한 해외자본과 투기성 자본을 구분할 수 있는 내부장치가 마련돼 있다"면서 "특히 대규모 투자를 원하는 기업의 경우 KOTRA 등 해외 공관에서 수행한 기업 신용평가를 토대로 추가 정보가 필요하면 국정원에 의뢰해 받는다. 그래도 의심되는 경우에는 실사도 나간다"고 소개했다.
 

현지 고용 등 주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장치도 마련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외자 개발은 크게 두 곳이다.

 

'국내 1호' 투자개발형 의료법인 제주헬스케어타운을 짓고 있는 중국녹지그룹과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짓고 있는 람정제주개발이다. 이들은 JDC와 맺은 투자 양해각서(MOU)에서 전체 직원의 80%를 한국인으로 고용하고, 건설 등 과정에서 필요한 하청업체도 자국과 한국기업 비율을 5대 5로 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카지노를 운영하는 람정제주개발의 경우 복합리조트 건립이 마무리되면 수익의 30% 이상을 지방세로 지출하게 된다. JDC 관계자는 "카지노 규모는 전체 신화·역사공원의 5%지만 실제 수익은 여기서 다 나온다"면서 "카지노 업체들에 30~35%의 세금을 거둬 주민의 무상교육 등으로 환원하고 있는 마카오의 사례를 모델로 삼고 현재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람정제주개발은 건설 단계에서 2만5000여명, 운영 단계에서 1만여명의 고용창출을 약속했다. 또 한국은행이 추정한 국내경제 파급효과는 건설 단계에서 4조9000억원, 20년간 운영 단계에서 42조5000억 원이다. 또 총 고용인원 6500명 중 80%를 도민으로 고용할 예정이다. 부대서비스(지역 농산물, 세탁·청소 등) 및 세수(지방세·국세 연 20억원)도 기대된다.

 

지역주민에게 파급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 JDC 관계자는 "대규모 중국 투자사업 대부분이 인허가 절차 이행 또는 공사 중이며 현재까지는 지역주민의 체감효과는 미미하지만 사업이 완공·운영되면 고용·생산·부가가치 창출 등 주민에게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박소연 기자)




 




 

 







 


 

 

 

 



 




 





 








 










 

인정하기 싫지만 맛있는 음식은 대개 건강에 해롭다. 대표적인 것이 인스턴트식품이다. 먹으면서 걱정한다. '계속 먹다가 병 걸리는 거 아냐?' 이런 걱정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 때문이다. 동물 실험을 통해 해롭다는 것이 확인된 식품첨가물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아질산나트륨

 

식품의 색을 선명하게 하는 첨가물이다. 햄, 소시지, 명란젓, 어묵 등에 들어간다. 아질산나트륨이 몸에 해로운 건 생선 알이나 어육, 육류와 함께 섭취하면 그 속에 있는 '아민'이라는 물질과 결합해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발암 가능성 때문에 어린이용 식품 등에 아질산나트륨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했다.

 

캐러멜색소

 

식품에 갈색을 내기 위해 사용한다. 탄산음료, 소스, 양주, 과자, 라면 등에 사용된다. 캐러멜색소는 캐러멜 Ⅰ, Ⅱ, Ⅲ, Ⅳ 총 4가지가 있는데, 그중 발암물질로 의심되는 것은 캐러멜 Ⅲ과 Ⅳ다. 캐러멜색소 속 암모늄 화합물이 변하면서 '4-메틸이미다졸'을 생성하는데, 이 물질이 암세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파탐

 

설탕보다 180~220배 단맛이 나는 첨가물이다. 하지만 설탕보다 칼로리가 적어 다이어트 감미료로 사용된다. 이외에 껌과 사탕, 젤리, 초콜릿 등에도 사용된다. 아스파탐에는 메틸알코올이 들어가는데, 메틸알코올은 많이 섭취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2005년 이탈리아에서는 아스파탐이 백혈병이나 림프종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타르색소

 

사탕, 초콜릿, 청량음료, 채소절임 등에 들어 있다.

선명한 색을 내기 위해 사용한다. 콜타르에 든 벤젠이나 나프탈렌에서 합성해 만들기 때문에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르색소가 빈혈, 두드러기, 암 등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화학합성물질이라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이런 유해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을 줄이고 있다.

 

아황산염

 

식품을 제조하고 가공할 때 표백제, 산화방지제 목적으로 사용한다.

말린 과일에도 사용하고, 포도주의 발효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아황산염은 독성이 있어서 민감한 사람들은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천식 환자가 아황산염이 들어있는 식품을 먹으면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벤조산나트륨

 

식품 속에 들어 있는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방부제로 사용된다.

청량음료나 에너지드링크 등에 들어 있다. 비타민 C와 반응하면 벤젠으로 변해 백혈병을 유발한다. 2006년 영국에서는 비타민 C가 첨가된 음료에서 벤젠이 검출돼 제품을 회수하는 소동을 겪기도 했다.




 




 



 


 




 

 


 

++++

황복심 5000명 발송비

Francis Chang

C. Kim

김영교

김성현

최옥연

Sarah Seoh

Kum Buckley

++++


 

 

 

 
 

 







이스라엘 가정집에 들어갈 때

우리나라의 문패처럼 문설주에 부착되어 있는

손바닥 길이 정도의 작은 케이스가 달려 있습니다.

이 작은 케이스가 바로 [메주자/Mezuza]]라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어느 작은 가게의 입구에도 붙어 있습니다.   


메주자 안에는 성경의 신명기 6장 말씀이 들어있습니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이신 여호와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을 다하고

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를 삼고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 문에 기록할지니라


(신6:4-9)